장애인 차량 등록 센터 위치 & 전화번호 총정리 (2025 최신 기준)
- 1. 차량 등록은 어디서 하나요?
- 2. 지역별 차량 등록 센터 리스트
- 3. 센터 운영시간 및 방문 체크사항
- 4. 자주 묻는 질문(FAQ)
- 5. 마무리 및 주의사항
장애인 차량을 등록하려면 차량이 등록된 주소지의 관할 관청에서 직접 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 보통은 시청 또는 구청 내 차량등록과에서 담당하지만,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가 운영되는 지역도 있으니 지역별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세금 감면 신청도 동시에 이뤄지므로, 복지카드나 감면 신청서류를 미리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역 | 관할기관 | 전화번호 | 비고 |
---|---|---|---|
서울 강남구 | 강남구 차량등록과 | 02-3423-5573 | 구청 본관 3층 |
서울 노원구 | 노원구 차량등록팀 | 02-2116-3275 | 민원센터 별관 |
부산 해운대구 | 해운대구 차량등록팀 | 051-749-5621 | 1층 민원실 |
대구 수성구 | 수성구 차량등록과 | 053-666-2452 | 2층 차량민원실 |
경기 수원시 | 수원시 차량등록사업소 | 031-228-3283 | 권선구 금곡동 |
인천 연수구 | 연수구 차량등록과 | 032-749-7310 | 1층 차량과 |
더 많은 지역 정보는 아래 정부 공식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정부24 – 자동차 등록 관청 찾기
대부분의 차량등록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됩니다. 단, 점심시간(12:00~13:00)에는 민원 접수를 받지 않는 곳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방문 시 준비해야 할 서류:
- 차량등록증
- 복지카드 사본
- 장애인 세금 감면 신청서
- 신분증
센터마다 요구하는 서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전화 문의를 통해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1. 차량 등록은 인터넷으로 가능한가요?
A.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관할 차량등록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Q2. 장애인 차량 등록 시 혜택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취득세, 자동차세 감면,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공영주차장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Q3. 등록할 차량은 본인 명의여야 하나요?
A. 네, 장애인 본인 또는 보호자 명의로 등록된 차량이어야 합니다.
Q4. 대리인이 대신 등록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 본인 신분증 사본이 필요합니다.
Q5. 차량을 중고로 구입한 경우에도 등록이 필요한가요?
A. 네, 차량 소유 변경 시 반드시 등록이 필요합니다.
Q6. 서울 외 지역 등록 차량도 세금 감면 신청이 가능한가요?
A. 차량 등록지 관할 센터에서 신청해야 하므로 서울 외 지역도 가능합니다.
Q7. 차량 등록에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A. 보통 1~2시간 내 처리가 되며, 대기 인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Q8. 등록 후 즉시 세금 감면이 적용되나요?
A. 네, 처리 완료 후 바로 적용됩니다.
Q9. 신청 시 차량 보험 증서가 필요한가요?
A. 경우에 따라 요구될 수 있으니 사전에 문의 바랍니다.
Q10. 등록 후 변경 사항이 생기면 어디서 수정하나요?
A. 주소나 소유자 변경은 차량등록센터에서 수정 가능합니다.
Q11. 전기차도 장애인 등록이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Q12. 복지카드가 만료됐을 경우 신청이 안 되나요?
A. 복지카드는 유효기간 내여야 하며, 갱신 후 신청해야 합니다.
Q13. 센터가 휴무인 날은?
A. 주말 및 공휴일은 운영하지 않습니다.
Q14. 예약제로 운영하나요?
A. 일부 센터는 예약 없이 방문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지자체는 예약제 운영 중입니다.
Q15. 제출 서류를 깜빡한 경우에도 접수 가능한가요?
A. 대부분 접수 불가하므로, 반드시 사전에 체크해 주세요.
Q16. 센터 내에 장애인 전용 주차장이 있나요?
A. 네, 대부분 마련돼 있으나 방문 전 확인을 권장합니다.
Q17. 방문 대신 팩스나 우편으로 접수 가능한가요?
A. 대면 접수가 원칙이므로 팩스나 우편은 제한됩니다.
Q18. 외국인 장애인도 등록할 수 있나요?
A. 등록증과 복지카드를 보유한 경우 가능합니다.
Q19. 장애 등급에 따라 혜택 차이가 있나요?
A. 일부 혜택은 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Q20. 전화로만 등록도 가능한가요?
A. 아니요. 서류 제출이 필요하므로 전화만으로는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Q21. 등록 시 수수료가 있나요?
A. 차량 종류 및 지역에 따라 다르며, 평균 1~2만원의 등록비가 발생합니다.
Q22. 차량 이전 등록도 여기서 하나요?
A. 네, 관할 차량등록센터에서 처리 가능합니다.
Q23. 동네 주민센터에서도 등록 가능한가요?
A. 아니요. 차량 등록은 전문 센터나 구청 차량과에서만 가능합니다.
Q24. 임대차 차량도 등록할 수 있나요?
A. 일부 지자체에서 불가능할 수 있으니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Q25. 차량 등록증이 분실됐어요. 어떻게 하나요?
A. 차량등록센터에서 재발급 가능합니다. 신분증 지참 필수입니다.
Q26. 등록 차량이 폐차되면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
A. 차량 말소 시 혜택도 종료됩니다.
Q27. 단기 렌터카도 혜택 대상인가요?
A. 아니요. 소유 차량에만 적용됩니다.
Q28. 감면 혜택 중복 적용이 가능한가요?
A. 일부는 중복 가능하나, 정책에 따라 제한됩니다.
Q29. 전기차 보조금과 장애인 감면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중복 여부는 지자체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Q30. 등록한 차량을 변경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A. 기존 차량 말소 후 새 차량을 등록하셔야 합니다.111
혹시 이런 고민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차량 등록하러 가야 하는데,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어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이 글에서 안내해드린 위치와 전화번호, 그리고 운영시간을 참고하시면 어렵지 않게 처리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중요: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정보로, 관할 지자체 정책 변경 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방문 전 사전 확인을 권장드립니다.